– 국악할머니 : 이렇게 사진 찍어서 뭐해?
- : 우리가 우암동을 기록하고 있어요. 우암동이라고 하면 북부시장도 되고, 우암초등학교, 덕벌초등학교도 되고, 넓잖아요.
- : 청대 앞 다지? 오정목부터~
- : 네~ 청주대학교 앞, 북부 정류장, 청주대학교 앞 먹자골목도 다니고 기록하고 있어요.
- : 나 청주에서만 살았어. 세 살 먹어서 진천에서 온 거야. 아이 적에 와서 거기서 자라서, 우암동 여기서만 80년 넘게 살았어.
- : 아, 그러셨구나. 할머니 이름이 어떻게 되세요?
- : 유..선.. 남
유선남 86세, 북부시장 내 점포 2호점 국악할머니의 이름이다. “안녕하세요. 저 기억하세요?” 라는 인사를 시작으로 안부를 묻고, 왜 가게 이름이 국악 할머니인지, 지금의 건강이 어떤지, 할머니가 살아온 이야기를 듣는다. 그리고 사진을 찍는다. 세 번, 네 번 시장을 다니며 얼굴을 익히다 보니 마음속 경계가 사라지고, 상인들은 그렇게 사진 속 피사체가 되어 주신다.
이렇게 우암동에서 만난 지은숙 사진가는 골목 풍경, 가게의 모습보다 그 속에 사는 사람에 집중한다. 처음 방문하였을 때 가게의 겉모습을 찍고, 가능하면 그 안의 내부의 모습을 찍고, 그다음 안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찍는다. 그 사이 시장 앞 무성했던 플라타너스 잎이 떨어지고 겨울이 되었다. 셔터를 누르는 시간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발품을 팔아 가게 문을 두드리고, 사람들을 만났다. 간혹 진열대의 물건, 가게의 모습을 촬영하는 것은 허락하여도 자신의 사진을 못 찍게 하시는 분들도 계셨지만, 모든 것이 과정 중에 있다고 생각하며 다음을 기약했다.
모두, 각자 살아온 개인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. 그 속에는 역사와 주변 환경, 인문학적 가치들이 숨어있었기에 우암콜렉티브는 단순히 오래되고 낡은 것을 기록하는 것의 의미를 넘어 사람을 만나고, 그들과 역사, 사회, 공동체를 기억하기 위해 움직였다.
우리가 처음 방문했던 중앙중학교 – 문화아파트 주변 주민들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고 발전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낙후된 동네의 재개발을 희망한다. 과거의 모습을 부수고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서는 것 만이 젊은이들이 지역을 찾고 활기를 찾기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하는 분들도 계셨다. 마을과 주민, 도시를 위해 어느 방향이 맞는다고 쉽게 결정할 수는 없지만, 혹시라도 재개발로 사라질 수 있는 ‘늙은 우암동’의 역사와 이야기를 담기 위해 움직인 우리의 활동들이 미래로 넘어가는 의미 있는 과정이었기를 바래본다.
